야외 교육: 교실 밖에서 더 감각적으로 학습하기

포장된 지식 대신 교실 밖으로 나가 체험적 지식을 배우는 것이 최근 몇 년 사이 새로운 국제적 학습 트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. 핀란드, 미국, 영국, 호주, 일본은 공교롭게도 미래 교육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'야외 교육'을 강조하기 시작했으며, 대만도 이러한 국제적 흐름을 따라잡고 있습니다.

簡單來說,只要是走出課室的學習,都是戶外教育。讓孩子走出教室,重拾好奇心,結合五感體驗的融合學習,讓學習更貼近生活,包括生態、冒險、食農、在地、文化等領域,都可以是戶外教育的主題。

課本能給孩子的太單一、太片段,大人要思考的,是如何創造機會讓孩子拓展生命經驗、拓展視野,未來才有能力、餘裕面對人生。學習不應該是單向傳授、無感背誦,而是探索、發現與感動的過程,這也是台灣正在努力的方向。

傳統教育出問題,世界各國都在找好的未來教育模式。在各式各樣新模式中,戶外教育(Outdoor Education)是備受矚目的新流派。

這被視為突破傳統教育被限制在「課本+教室」框架中的關鍵力量。有的國家甚至將戶外教育列入新課綱之中。想培養出適合未來的人才,傳統、典型、侷限於教室與課本,將實質世界抽象化並抽離自然的「套裝知識」的教育,顯然已不足以應付未來。說來有些反諷,能補其不足的教育解方之一,竟要向遠古時代取經:人類最早沒有「教科書」,學習是從大自然觀察、真實經驗而來。

走出教室之外,學習「經驗知識」,近年在國際形成復古又時髦的新學習風潮。包括芬蘭、美國、英國、澳洲與日本等國家,不約而同開始重視「戶外教育」,盼能呼應未來教育的需求,台灣也正搭上這波國際趨勢。

讓孩子更個別化、跨領域學習

台灣千里步道協會執行長周聖心直言,如果孩子被綁在課桌椅上,接受由上而下的教學、讀呆板生硬的教材,知識無法與生活經驗聯結,學習胃口當然被打壞。主婦聯盟基金會常務董事林玉珮則指出,很多孩子放了學還得去安親班,留在教室的時間愈來愈長,很難有機會在真實情境中驗證所學。

"화분에 나무를 심었는데 잘 자라지 않으면 나무가 무엇을 원하는지 몰라도 보통 비료를 더 주지만, 사실 나무는 자연에서 자라는 한 아무것도 주지 않아도 잘 자라고 자라게 된다"고 말한 라우위엣메이 야생보호협회 회장은 흔히 나무가 자라는 데 10년이 걸리지만 사람이 자라는 데는 백년이 걸린다고 말하며, 어른들이 학생들에게 좁은 틈새에서 학습하도록 제한해서는 안 되며 학생들이 이 틈새의 내용을 좋아하지 않으면 쉽게 정체되고 앞으로 나아가기를 멈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학생들이 그 틈새에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정체되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기 쉽습니다.

作者:黃啟菱

관련 문서
지난 기사